전국 물놀이형 수경시설 대대적 점검 착수

전국 물놀이형 수경시설 대대적 점검 착수
환경부는 2025년 2월 2일부터 4개월간 전국에 분포한 물놀이형 수경시설에 대해 지자체와 합동으로 실태 점검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국민 건강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전국 약 3300여 곳의 시설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물놀이형 수경시설은 분수대, 폭포 등에서 이용자가 직접 물에 접촉하며 즐길 수 있는 인공 시설물로, 유형별로는 분수대가 2004곳(60%)으로 가장 많고, 물놀이장이 1072곳(32%), 실개천 등 기타 시설이 249곳(8%)을 차지한다.
환경부와 전국 지자체는 어린이와 청소년이 주로 이용하는 점을 고려해 이용객의 안전과 건강 보호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이번 점검 대상은 최근 3년 내 수질기준 위반 시설, 신규 신고 시설, 이용객이 많은 시설 등으로, 시설 설치 및 운영 신고 여부, 수질기준과 관리기준 준수 여부를 집중 점검한다.
아울러 물놀이형 수경시설 운영·관리자는 운영 기간 동안 15일마다 1회 이상 수질검사를 실시하고, 저류조 청소를 주 1회 이상 시행하며, 용수 소독 등 자체 관리 의무를 철저히 이행해야 한다.
환경부는 점검 결과 경미한 위반 사항은 현장에서 즉시 조치하고, 국민 안전과 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위반 사항에 대해서는 행정처분 등 엄정한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특히 수질기준을 초과한 시설은 즉시 운영 중지 조치를 내릴 예정이다.
조희송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기온이 상승하고 본격적인 여름철이 다가오면서 물놀이형 수경시설 이용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철저한 점검을 통해 국민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