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청, KASA 로고 도입으로 정체성 강화
우주항공청, 새로운 상징 로고 도입으로 정체성 확립
우주항공청이 미국 NASA 등 해외 우주기관과 마찬가지로 기관의 정체성과 독창성을 드러내기 위한 상징 로고를 완성하고, 이를 통해 대내외 인식 확산에 나섰다. 4월 14일 우주항공청장 주재로 열린 제3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에서는 우주항공청 상징 로고 도입 및 활용 계획과 대한민국 우주수송, 인공위성, 우주과학탐사 추진전략 3건이 검토되었다.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의 역할과 로고 도입 배경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는 '우주개발 진흥법 시행령' 제6조에 근거해 설치된 위원회로, 국가우주위원회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국가 우주개발 관련 안건을 사전 검토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이번에 도입된 우주항공청 로고는 기관의 정체성과 독창성을 국내외에 알리고 이미지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로고 제작 과정과 활용 계획
우주항공청은 지난해 9월부터 로고 제작업체를 선정하고, 우주항공 분야 전문가 7명으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통해 내외부 의견을 수렴하며 디자인을 완성했다. 또한, 행정안전부와 협의를 거쳐 정부 상징 제외기관으로서 공식 활용을 위한 절차를 마쳤다. 앞으로 기념품, 명함 등 주요 항목에 우선적으로 로고를 적용하고, 예산과 유관 부처 협의에 따라 기존 정부 상징과 병행하여 순차적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우주수송·인공위성·우주과학탐사 추진전략
이번 실무위원회에서는 지난해 5월 30일 제1회 국가우주위원회에서 발표한 '우주항공 5대 강국 실현' 목표에 부합하는 우주수송, 인공위성, 우주과학탐사 분야의 추진전략 3건도 검토되었다. 주요 브랜드 사업으로는 재사용발사체와 궤도수송선(우주수송), 초고해상도 위성 및 초저궤도 위성, 다층궤도 항법시스템(인공위성), 그리고 L4 우주관측과 달 착륙선(우주과학탐사)이 선정되었다. 이들 사업을 통해 뉴스페이스 시대의 우주경제 역량을 확보하고 핵심 전략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향후 계획과 우주청장의 기대
이번 실무위원회에서 검토된 내용들은 앞으로 국가우주위원회의 심의와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뉴스페이스 시대를 실현하기 위해 민간 우주시장을 발전시키고, 우리나라 미래 우주개발을 이끌 핵심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며 "오늘 제시한 전략과 사업계획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우주개발이 큰 도약을 이루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