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산업 표준화에 2475억 집중 투자
2025년 국가표준시행계획, 첨단산업 표준화에 2475억 원 투입
정부는 올해 인공지능(AI), 반도체, 6G 등 첨단산업 분야의 기술 표준화와 해외인증 대응 지원에 총 247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이는 지난해 대비 9% 증가한 규모로, 첨단산업 분야의 신시장 확보와 수출기업의 인증 부담 완화를 목표로 한다.
국가표준심의회, 2025년도 시행계획 심의·의결
국가표준심의회는 27일 산업통상자원부를 포함한 18개 부처와 청이 참여한 가운데 '2025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이번 계획은 '제5차 국가표준기본계획(2021~2025년)'의 마지막 시행계획으로, 첨단산업 분야의 기술 표준화에 집중해 성과 확산을 도모한다.
해외인증지원단 운영으로 수출기업 지원 강화
정부는 해외인증지원단을 운영하여 우리 수출기업들이 해외 인증 절차에서 겪는 부담을 완화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촉진하고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예정이다.
생활 편의 및 안전 표준 마련과 전문인력 양성
국민의 행복한 삶을 위한 생활 편의 및 안전 표준도 지속적으로 마련된다. 아울러 기업 내 표준화 담당 전문인력 양성과 연구개발(R&D) 성과의 사업성 강화를 위한 R&D-표준 연계 확대 등 민간 주도의 표준화 체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국제표준 성과 조기 달성, 세계시장 선점 노력 결실
제5차 국가표준기본계획의 이행실적 점검 결과, 국제표준 제안과 서비스표준 개발 등 주요 성과 지표가 지난해 조기 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인 ISO 회장과 국제표준 민간 전문가, 각 부처가 협력해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국제표준 개발에 힘쓴 결과다.
제6차 국가표준기본계획 수립 준비 착수
앞으로 5년간의 국가표준화 정책 방향을 담을 '제6차 국가표준기본계획(2026~2030년)' 수립을 위해 18개 부처와 청은 범부처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디지털, AI, ESG 전환 등 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전략 마련에 집중할 예정이다.
오광해 표준정책국장, 부처 간 협력과 중장기 전략 강조
오광해 산업통상자원부 표준정책국장은 "올해 부처별 시행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 부처 간 협력을 강화하겠다"며 "제6차 기본계획 수립 시 경제, 산업, 사회 전 분야 변화를 반영한 국가 중장기 표준 전략 마련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