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베키스탄서 조선업 맞춤형 외국인력 양성 시동
우즈베키스탄 현지서 조선업 맞춤형 외국인력 양성 시범사업 시작
고용노동부는 울산광역시와 협력하여 3월부터 우즈베키스탄 현지에서 조선업에 특화된 외국인력 양성 시범사업을 본격적으로 실시한다고 13일 밝혔습니다. 이번 사업은 약 280명의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선업 맞춤형 직업훈련을 제공하며, 훈련을 마친 인력은 오는 7월부터 12월 사이에 울산 지역 중소 조선업체에 입국하여 근무할 예정입니다.
맞춤형 훈련으로 숙련도 향상 및 기업 경쟁력 강화
이번 시범사업은 고용허가제(E-9)를 통해 선발된 외국인 근로자들이 울산시 주도로 우즈베키스탄에서 조선업 특수 작업 환경과 기능을 사전에 습득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훈련 과정은 보온, 사상, 발판, 도장, 전기 등 5개 분야로 나누어져 있으며, 3월 18일부터 발판, 도장, 사상 분야의 직종별 훈련이 시작됩니다. 이어 5월 3주부터 사상 분야, 7월 4주부터는 5개 직종에 대한 3개월간의 집중 훈련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울산시와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적극적 협력
울산시는 훈련 비용과 운영 전반을 지원하며, 훈련 내용은 지역 내 조선업체의 수요를 반영해 구성됩니다. 또한 우즈베키스탄 정부도 훈련 시설 제공과 기자재 반입, 송출 절차 신속화 등에서 적극 협조하여 원활한 사업 진행을 돕고 있습니다. 고용부는 훈련 수료자를 울산 중소 조선업체에 우선 알선하여 현장에 즉시 투입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외국인력 맞춤형 훈련의 사회적·경제적 의미
이번 시범사업은 외국인력과 지역 기업,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하여 필요한 인력을 직접 양성하는 모델로, 기업은 숙련된 인력을 확보하고 외국인 근로자는 현장 적응 기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산재 예방과 생산성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고용부는 이번 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맞춤형 외국인력 양성 과정을 확대해 나갈 방침입니다.
고용허가제 훈련 체계화 및 확대 계획
고용노동부는 산업현장 수요에 맞는 외국인력 공급과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고용허가제(E-9) 훈련을 입국 전후로 체계화하고 확대할 계획입니다. 입국 전에는 울산시 협력모델과 같은 수요자 주도 훈련을 신설 및 확대하며, 송출국 주도 훈련도 확대하여 용접, 금형 등 분야를 추가할 예정입니다. 입국 후에는 제조업 등 7개 업종 특화훈련을 사업주 요청 시 입국 직후 실시하여 신속한 업무 적응을 지원합니다.
사업주와 외국인 근로자 모두를 위한 지원 강화
고용부는 산업계 주도로 현장 맞춤형 훈련과정을 설계하고 참여 기업을 모집하며, 유급휴가훈련제도를 활용해 사업주의 재정 부담을 줄일 계획입니다. 또한 외국인력 우선 알선, 고용한도 상향, 재입국 특례 등을 통해 사업주와 외국인 근로자의 훈련 참여 동기를 높여 나갈 예정입니다.
김민석 차관의 의지와 향후 전망
김민석 고용부 차관은 "국가 기간산업이자 지역 주력산업인 조선업부터 시범적으로 자치단체와 지역 기업이 참여하는 협업 모델을 확산해 나가겠다"며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외국인력을 선발하고 숙련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선발과 훈련 제도를 지속 개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