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배추·무 비축물량 대폭 공급해 가격 안정 나서
정부, 배추·무 비축물량 대폭 공급해 가격 안정 나서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배추와 무 가격이 크게 상승한 데 대응해 비축물량을 대형마트에 도매가격의 70% 수준으로 공급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조치는 국민의 식생활 안정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시장 개입으로 평가된다.
배추 2600톤, 무 500톤 비축물량 공급
농식품부는 배추 2600톤과 무 500톤의 비축물량을 각각 도매시장과 대형마트에 공급할 계획이다. 이는 도매가격의 70% 수준으로, 소비자 부담을 줄이고 시장 가격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조치다.
생산량 감소로 인한 가격 강세
최근 배추와 무의 생산량은 기상 악화로 인해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0~21% 감소했다. 배추는 평년 대비 13.3%, 전년 대비 9.9% 줄어든 21만 6000톤, 무는 평년 대비 21.4%, 전년 대비 15.9% 감소한 29만 8000톤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지난달 도매가격은 배추가 전·평년 대비 66~68%, 무는 88~141% 상승했으며, 소매가격도 각각 26~36%, 71~86%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시장 공급 확대 및 대체소비 유도
농식품부는 비축물량 공급 확대 외에도 배추와 무의 직수입 물량을 주당 200~500톤씩 전국 도매시장에 공급하고, 할당관세 적용 물량도 적극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봄동, 얼갈이, 열무 등 대체품목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현장 캠페인과 SNS 홍보를 강화하고, 대체품목에 대해 최대 40% 할인 지원을 실시하며 할인 기간도 다음 달까지 연장한다.
계약재배 및 정부 수매 확대
더불어 봄 배추와 무의 계약재배 물량을 지난해보다 30~45% 확대하고, 정부 수매 비축도 50% 늘려 다음 달 중순 이후 공급 안정에 힘쓴다. 농협 계약재배 물량은 배추 7000톤, 무 1000톤이 추가되어 각각 2만 2400톤과 4500톤으로 늘어난다. 참여 농가에는 모종과 약제비 지원도 제공된다. 정부 수매 물량은 배추 5000톤, 무 2500톤 등 총 7500톤으로 확대되며, 사전 수매도 3월 계약과 5~7월 수매로 추진된다.
향후 전망
배추는 봄 재배형 출하 시기인 다음 달 하순, 무는 5월 중순 전까지 가격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국민의 식탁 물가 안정과 농가의 안정적인 소득 확보를 동시에 도모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