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화재 신속 대응 체계 시범 운영
전기차 배터리 화재 신속 대응 체계 시범 운영
국토교통부는 소방청, 한국교통안전공단, 그리고 현대차·기아, 비엠더블유코리아와 협력하여 21일부터 '전기자동차 배터리 이상 감지 시 화재 신고 시범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시범사업은 전기차에서 화재가 의심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소방청에 신속하게 신고할 수 있는 감지 및 신고 체계를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기차 화재 발생 시 골든타임을 확보하고, 화재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지난해 8월 인천 청라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고를 계기로 마련된 정부의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의 일환으로 추진되며, 현대차·기아, 비엠더블유코리아 등 주요 자동차 제작사들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시범사업 대상 차량은 총 4만여 대로, 현대차 아이오닉5 1만 대, 기아 EV6 1만 대, BMW 및 MINI의 2만 대(7개 BMW 차종과 3개 MINI 차종 포함)가 포함됩니다. 앞으로 자동차 제작사와 대상 차종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신고 체계는 전기차가 운행, 충전, 주차 중인 모든 상황에서 고전압 배터리 상태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합니다. 화재 징후가 감지되면 고객센터에 자동으로 알림이 전송되고, 관할 소방서에 유선으로 신고가 이루어집니다.
소방서에 신고가 접수되면 차량의 연락처, 차종, 차량번호, 위치 정보 등이 전달되어 119 소방대원이 신속히 출동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또한 차량 소유자에게도 유선 및 문자 알림을 통해 고전압 배터리의 화재 위험 상황을 안내합니다.
시범사업 기간 동안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방청과 자동차 제작사는 전기차 화재 현장 대응 매뉴얼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더욱 체계적인 현장 대응을 준비할 예정입니다.
국토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실증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기차 안전성에 관한 국제 기준 마련에도 활용할 계획입니다.
김홍목 국토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전기차 화재 대응 신속 체계를 구축하고, 신고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여 국민 불안을 해소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