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관제레이더 국내 개발, 운항 관리 혁신
항공관제레이더 전력화의 의미와 기대효과
방위사업청은 지난 6월 말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한 ‘항공관제레이더(PAR, Precision Approach Radar)’의 마지막 기지에 대한 공군 수락검사를 완료하고, 성공적으로 전력화를 마무리 했습니다. 이번 전력화 완료로 우리 군의 항공기 운항 관리와 통제 능력이 크게 향상되어 비행 안전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지 수락검사는 실제 설치 후 작전 운용성능, 군 운용 적합성 등을 확인하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항공관제레이더 (사진=방위사업청)입니다.
항공관제레이더 개발 과정
이번에 전력화한 항공관제레이더는 공군이 국외에서 구매해 30년 이상 운용하고 있는 항공관제레이더를 대체하기 위해 2012년부터 방위사업청과 LIG넥스원이 200억 원을 공동 투자해 2017년에 개발을 완료한 것입니다. 이에 따라 2022년 최초 양산 전력화에 이어 올해 후속 양산 전력화로 공군 비행단의 노후화된 기존 장비를 모두 신형 장비로 교체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국내 기술력이 동원되었습니다. 항공관제레이더는 공항 관제 구역 내 운항 항공기에 대한 착륙관제 및 야간·악기상 때 안전한 착륙을 지원하는 필수 비행안전 장비입니다. 이를 통해 활주로에 접근하는 항공기에 대해 40㎞부터 착륙 때까지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정밀하게 착륙을 유도합니다. 특히 국외 구매 장비를 대체하며 운용성과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 항공관제레이더의 개발 배경
- 전력화 과정 및 단계
- 국내 기술력의 우수성
- 향후 방위산업에 미치는 영향
- 항공기 운항 관리와 통제 능력 향상
항공관제레이더의 주요 특징
기능 | 특징 | 효과 |
AESA 방식 | 수백 개의 반도체 송·수신기 모듈 | 운용성과 효율성 향상 |
정밀 착륙 유도 | 40㎞부터 착륙까지 정보 제공 | 비행 안전성 향상 |
원격 감시 및 진단 | 정비 자동화 및 효율성 증가 | 365일 24시간 무중단 임무 수행 |
수동위상배열 방식 | 하나의 송신관 이용 | 효율성 낮음 |
이번 항공관제레이더 전력화는 국내 기술력이 집약된 결과물로, 방위산업에 대한 자부심을 높이는 사건이 되었습니다. 공중 정밀 착륙 관제, 야간 및 악기상에서의 안전한 비행 지원 등 다양한 방면에서 그 효과를 발휘할 것입니다. 또한 신형 항공관제레이더의 전력화를 통해 항공기의 착륙관제 임무수행 능력이 대폭 향상되었습니다. 24시간 무중단 임무 수행이 가능해졌습니다. 윤창문 방사청 감시전자사업부장은 "앞으로도 관련 분야의 국내 개발을 계속 추진할 예정입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방위산업 역량 강화와 함께 국내 기술력의 세계적인 입지를 굳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입니다.
국내 방위산업의 미래 전망
방위사업청과 국내 방위산업체들이 협력하여 완성한 항공관제레이더는 국내 기술력을 우수성을 증명했으며, 앞으로의 방위산업 미래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가지게 합니다. 해외 의존도가 높았던 방위산업 품목들의 경우, 이러한 국산화 성공 사례가 늘어남에 따라 자주국방의 기반이 더욱 탄탄해질 것입니다. 특히 항공 분야의 기술 개발 및 보급은 국가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미래 전쟁 양상에서도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이러한 발전은 단순히 군사적인 효용성뿐만 아니라 민간 산업의 기술력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향후 방위산업 분야의 발전을 기대해 볼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습니다. 방위사업청과 각 방위산업체들의 지속적인 협력이 요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