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일자리 정책 복지부 계획과 전망
Last Updated :
노인 일자리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보다 전문적이고 의미 있는 역할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관련된 안전관리 문제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며, 예산 증액 없이 안전관리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일부 노인들은 여전히 공익활동형 일자리에서 활동하며 생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단순직이 많아 효능감이 떨어진다는 점은 근로 의욕을 감소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양질의 일자리 발굴과 제공이 중요합니다.
높은 빈곤율과 저소득 근로취약 노인을 고려한 공익활동형 일자리는 총량의 60% 이내로 조정하고, 신노년세대의 수요와 높은 임금 수준을 갖춘 사회서비스형 및 민간형 일자리를 40% 이상으로 확대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노인일자리 정책은 보다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노인의 높은 빈곤율을 고려한 공익활동형 일자리 제공
- 신노년세대의 수요와 높은 임금에 대응하는 사회서비스형 일자리 발굴
- 민간형 일자리 확대로 양질의 일자리 기회 제공
비중은 '22년 72%에서 '24년 63.5%로 축소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전체 노인 일자리에서 공익형 일자리의 비중을 줄이는 대신, 사회서비스형과 민간형 일자리를 확대하고자 하는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신노년세대 지원을 위한 사회서비스형 일자리의 비중은 '22년 28%에서 '24년 36.5%로 증가하였으며, '25년에는 37%로 더욱 확대될 계획입니다.
이러한 정책 방향은 신노년세대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는 의지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 노인의 높은 빈곤율을 고려한 공익활동형 일자리 제공
- 신노년세대의 수요와 높은 임금에 대응하는 사회서비스형 일자리 발굴
- 민간형 일자리 확대로 양질의 일자리 기회 제공
비중은 '22년 72%에서 '24년 63.5%로 축소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전체 노인 일자리에서 공익형 일자리의 비중을 줄이는 대신, 사회서비스형과 민간형 일자리를 확대하고자 하는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신노년세대 지원을 위한 사회서비스형 일자리의 비중은 '22년 28%에서 '24년 36.5%로 증가하였으며, '25년에는 37%로 더욱 확대될 계획입니다.
이러한 정책 방향은 신노년세대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는 의지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베이비붐 세대 등 신노년 세대의 경력과 역량에 맞는 양질의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발굴·보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과 협력하여 재정 문제로 추진하기 어려운 공익성과 공공성이 높은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교육부의 늘봄학교 도우미 1.2천명 채용, 행안부의 경로당 지원 5.6만명, 국토부의 시니어 취약시설 안전점검단 400명, 그리고 여가부의 아이돌보미 5천명 등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자체 일자리 수행기관과 함께 일자리 공모대회를 개최하여 지자체 특성에 맞는 양질의 신규일자리 발굴·보급도 지속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노인들의 전문성과 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타 지자체로의 확산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유형
2022
2023
2024
2025(정부안)
노인일자리 총량 (천개)
845
883
1,030
1,098
공익형
608 (72.0%)
608 (69.0%)
654 (63.5%)
692 (63.0%)
사회서비스형
70 (8.3%)
85 (9.6%)
151( 14.7%)
171 (15.6%)
민간형
167 (19.8%)
190 (21.5%)
225 (21.8%)
235 (21.4%)
이 표를 기반으로 노인일자리의 유형별 변화 추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공익형에서 사회서비스형 및 민간형 일자리로의 전환이 두드러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정부의 노인일자리 정책 방향이 보다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의도를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