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교사 이직 고민 2030교사 86% 월급 적어
교사 월급 만족도 조사 결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실시한 '월급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다수의 20·30대 교사들이 월급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며 이직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월급에 대해 '매우 불만족'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65.0%에 달했고, '불만족'이라고 답한 비율도 27.9%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총 응답자의 92.9%가 월급에 대한 불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월급 때문에 이직을 고민한 적 있느냐'는 질문에 86.0%가 '고민한 적 있다'고 답해 교사들의 높은 이직 의향을 시사했습니다.
보수인상률 관련 불만
최근 공무원보수위원회가 제시한 보수인상률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이 나타났습니다. 5급 이상 2.5%, 6급 이하 3.3%의 보수인상률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단 1.1%에 그쳤습니다. 이는 물가상승률(7.2%)을 고려했을 때 매우 낮은 수치로, 교사들의 생활 안정성을 보장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응답자 중 55.7%는 물가상승률을 상회하는 인상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31.5%는 10% 이상의 인상을, 11.7%는 5% 이상의 인상을 요구했습니다.
- 연금에 대한 낮은 기대감: 93.9% 응답자 '기대할 수준 아님'
- 교권 보장 필요성: 37.5% 응답자 교권 문제 해결이 우선
- 근무여건 개선: 5.2% 불필요한 업무 줄여야
연금과 처우 개선
한때 많은 이들의 부러움을 샀던 공무원 연금에 대한 기대감이 사라지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93.9%의 응답자가 연금 수준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답했습니다. 연금 혜택의 메리트가 감소함에 따라 많은 교사들이 교직에 대한 회의를 느끼고 있는 상황입니다. 교총은 연금 메리트가 희석되고 현실적으로 낮은 보수 인상률로 인해 젊은 교사들의 사기가 저하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교총의 기자회견에서는 교직수당 등의 수당을 인상하고, 직무와 책임에 맞는 보상기제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교사들의 실제 월급
교총이 공개한 저연차 교사의 월 실수령액에 따르면, 초등교사 9호봉, 비담임 기준으로 월 230만9160원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올해 최저임금 9860원을 월급여로 환산한 206만740원과 비교했을 때 약 24만원 차이 납니다. 이런 상황은 교사들이 월급으로 생활하기 어려운 환경을 대변하며, 교사들의 체감 경제가 그만큼 악화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교사 처우 개선을 위한 제언
설문조사 결과, 교사들은 처우 개선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말했습니다. 53.9%의 응답자가 확실한 처우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했고, 이어 교권 문제 및 민원 문제 해결(37.5%), 불필요한 업무 경감(5.2%), 복지 사항 개선(1.9%)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우수 교원 확보와 교사들의 이탈 방지를 위해 정부와 교육 당국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교총은 기자회견을 통해 정부가 교원 보수 인상 및 처우 개선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설문조사 방법 및 표본
조사 기간 | 2022년 8월 8일 ~ 2022년 8월 27일 | 대상 |
참여 인원 | 4603명 | 유·초·중·고교 20~30대 교사 |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1.44%포인트 |
이 조사는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에서 진행한 것으로, 4603명의 20·30대 유·초·중·고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습니다. 조사 기간은 지난 2022년 8월 8일부터 27일까지였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1.44%포인트로 신뢰할 만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설문 결과는 교사들의 월급에 대한 불만과 더 나아가 이직 고민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잘 나타냅니다.
결론
이번 조사를 통해 교사들이 월급에 대한 불만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이직을 고민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특히 젊은 교사들 사이에서 이러한 경향이 더 두드러집니다. 정부와 교육 당국은 교사들의 월급 인상과 처우 개선에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교사들의 만족도가 높아져야 우수한 인재들이 교육 현장에 남아 교육의 질이 향상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조사 결과는 교육 시스템 개선의 필요성을 강력하게 제기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