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숲 확대로 미세먼지·호흡기질환 크게 감소
도시숲 조성으로 미세먼지와 호흡기질환 감소 효과 확인
최근 국제학술지에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세먼지 차단숲이 미세먼지 평균농도를 약 49.5% 줄이고, 호흡기 질환 관련 진료 건수도 43.4%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이는 국민 건강과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에 도시숲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산림청, 올해도 도시숲 107곳 등 추가 조성 계획
산림청은 기후위기 시대에 대응하여 국민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산림복지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해 올해 기후대응 도시숲 107곳, 도시바람길숲 20곳, 자녀안심그린숲 60곳을 추가로 조성할 계획임을 밝혔습니다. 2027년까지 1인당 도시숲 면적을 15㎡로 확대하는 목표도 세웠습니다.
국립산림과학원 연구, 시흥 곰솔누리숲 사례
국립산림과학원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경기 시흥시의 미세먼지 차단숲인 곰솔누리숲에서 2006년부터 2023년까지 미세먼지 평균농도가 85.2㎍/㎥에서 43.0㎍/㎥로 49.5% 감소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주변 지역의 호흡기 질환 진료 건수도 3만 6709명에서 2만 776명으로 43.4% 줄어드는 등 도시숲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국 연구도 도시숲의 대기질 개선 효과 입증
중국 북부 지난지역에서 진행된 연구에서는 도시숲 지역의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일반 도심보다 6.3~6.5㎍/㎥ 낮고, 오존 농도도 21~23㎍/㎥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도시숲 지역의 기온은 4.1~6.8°C 낮고, 상대 습도는 12.9~13.4% 높아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산림청의 도시숲 조성 및 관리 강화 노력
산림청은 2019년부터 기후대응 도시숲 588곳과 도시 외곽 산림의 맑고 찬 공기를 도심으로 유입시키는 도시바람길숲을 17개 도시에 조성해 왔으며, 학생들의 건강한 등굣길 환경을 위해 자녀안심그린숲 279곳도 조성했습니다. 올해도 추가로 도시숲과 바람길숲, 자녀안심그린숲을 조성할 예정입니다.
또한, 산림청은 도시숲 조성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2023년 5월 국무조정실과 함께 전국 도시숲 조성사업 실태를 점검하고, 대상지 선정의 적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광역 지방자치단체의 자체평가 및 검증 절차를 도입했습니다. 지난해 6월에는 '기후대응도시숲 등 조성·관리 현장 실무가이드'도 개정해 배포했습니다.
산림청의 의지와 향후 계획
김기철 산림청 도시숲경관과장은 "가까운 곳에서 숲을 누릴 수 있도록 도시숲을 확대하고, 가치 있고 건강한 숲으로 육성해 도시숲의 효과를 극대화하여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