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늘면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시작

상생페이백, 소비 증가에 최대 30만 원 환급
정부는 민생회복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올해 9월부터 11월까지 지난해보다 카드 사용액이 증가한 소비자에게 최대 30만 원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환급하는 '상생페이백' 제도를 시행합니다. 이 제도는 소비 진작과 전통시장 및 상점가 등 취약상권 소상공인 지원을 목적으로 합니다.
신청 및 지급 계획
중소벤처기업부는 20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상생페이백의 신청, 지급, 사용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신청 대상은 지난해 본인 명의의 국내 신용·체크카드로 소비 실적이 있는 만 19세 이상 국민과 외국인입니다. 신청은 다음 달 1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상생페이백 누리집(상생페이백.kr)에서 할 수 있으며, 디지털 온누리 앱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별도의 소비 실적 제출 없이 한 번의 신청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간 소비 증가분에 대해 월 최대 10만 원씩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경우 11월 28일까지 평일 영업시간에 전통시장 상인회, 소상공인지원센터, 국민·우리·농협은행·농축협 영업점에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환급 기준과 사용처
환급은 지난해 월평균 카드소비액 대비 올해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소비액이 증가한 금액의 20%까지 지급하며, 월 최대 10만 원 한도입니다. 지급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과 상점가 등 13만 개 가맹점에서 5년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소비액 산정 시 백화점,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대기업 브랜드 직영점 등은 제외되며,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액도 중복 지원 방지를 위해 제외됩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과 배달 앱 결제액은 카드사에서 판매자 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 산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상생소비복권 이벤트
소비 촉진을 위해 2025명에게 총 10억 원 규모의 상생소비복권 이벤트도 진행됩니다. 10월 12일까지 상생페이백 신청 시 자동 응모되며, 누적 카드결제액 5만 원당 복권 1장을 지급합니다. 당첨자는 11월 중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경품을 받게 됩니다.
문의 및 지원
상생페이백 관련 자세한 내용은 누리집(상생페이백.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전용 콜센터(1533-2800)와 24시간 챗봇 상담 서비스도 운영됩니다. 이의신청은 온라인으로 가능하며, 어려운 경우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지원센터 방문도 가능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 이대건 소상공인정책관은 "상생페이백이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이어 소비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많은 국민이 참여해 소비 혜택과 복권 당첨 기회를 누리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