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슈퍼문 올해 기대되는 달맞이 이벤트!

Last Updated :

슈퍼문: 개념 및 역사

‘슈퍼문’은 달이 지구에 가장 가까운 근지점 기준 90% 이내에 있을 때를 의미합니다. 평소보다 밝고 크게 보이는 보름달을 일컫는 이 용어는 1970년 미국의 점성술가 리처드 놀에 의해 제안되었습니다. 천문학적 공식 명칭은 '근지점 삭망'입니다. 근지점에 위치한 달은 지구에서 더 가까워져, 평소보다 더 크게 보이는 현상을 일으킵니다. 슈퍼문은 일반 보름달보다 최대 14% 더 크고, 약 30% 더 밝게 보입니다. 이는 달의 궤도 특성 때문인데, 달은 지구 주위를 타원 궤도로 돌기 때문에 시기별로 지구에서 보이는 크기가 다릅니다.

슈퍼문: 조건과 특징

슈퍼문이 발생하려면 달이 지구와 가장 가까운 거리인 근지점에 근접하고 보름달이 되어야 합니다. 달과 지구 중심 간의 평균 거리는 38만 4400㎞입니다. 하지만 근지점에서는 이 거리가 35만 6400㎞ 정도로 줄어들고, 멀어지는 원지점에서는 40만 6700㎞로 늘어납니다. 달이 근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달의 크기와 밝기가 눈에 띄게 커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그러나, 매달 근지점과 원지점을 오가며 보름달과 겹치는 것은 한 해에 3~4회 미만이라는 점에서 매우 특별한 현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슈퍼문은 일반 보름달보다 14% 더 큽니다.
  • 슈퍼문은 일반 보름달보다 30% 더 밝습니다.
  • 달의 근지점과 보름달이 동시에 발생할 때 슈퍼문이 나타납니다.

2023년 추석의 슈퍼문

2023년 추석에는 평소 보름달보다 더 밝고 큰 ‘슈퍼문’을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서울 기준으로 2023년 9월 17일 오후 6시 17분에 슈퍼문이 뜬 뒤 9월 18일 오전 6시 2분에 질 예정입니다. 달이 태양의 정반대에 위치해 완전히 둥근 보름달이 되는 시간은 같은 날 오전 11시 34분입니다. 이번 슈퍼문은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35만 8211㎞로 예상되며, 이 거리는 근지점 거리보다 조금 멀지만, 여전히 매우 가깝고 큰 보름달을 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부분 월식과 기타 천문 현상

이번 추석에는 슈퍼문뿐만 아니라 부분 월식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서부, 그리고 미 대륙 등지에서는 이 천문 현상을 목격할 수 있습니다. 부분 월식은 달의 일부가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지는 현상으로, 시간에 따라 달의 모양이 달라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부분 월식은 천문 현상에 관심이 많은 이들에게 매우 흥미로운 이벤트가 될 것입니다.

근지점과 원지점

근지점 원지점 평균 거리
35만 6400㎞ 40만 6700㎞ 38만 4400㎞

달의 근지점은 달이 지구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을 때의 거리를 의미하며, 지구와 달에서 관측 시 가장 크게 보입니다. 반면, 원지점은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가장 먼 위치이며, 이때 달은 가장 작고 어둡게 보입니다. 근지점과 원지점의 차이는 달의 궤도가 타원형이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는 달의 크기와 밝기 변화를 관찰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달의 엘립스 궤도

달은 지구 주위를 타원형 궤도, 즉 엘립스 궤도를 따라 공전합니다. 이러한 궤도 때문에 근지점과 원지점에서 달의 크기와 밝기가 달라지게 됩니다. 엘립스 궤도의 특성상 슈퍼문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천문학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근지점에서의 달은 지구에서 보았을 때 더 크고 밝게 나타나며, 이는 많은 사람들이 달의 아름다움을 더 잘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달의 위상 변화

달의 위상 변화는 태양, 지구, 달의 위치 관계에 따라 발생합니다. 초승달, 상현달, 보름달, 하현달 등이 있으며, 보름달은 달이 태양의 정반대에 위치할 때 생깁니다. 근지점에서 보름달이 된다면 슈퍼문을 볼 수 있으며, 이는 달의 위치와 궤도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위상 변화는 매달 주기적으로 발생하며, 이를 관찰하는 것 자체도 천문학적으로 매우 의미가 있습니다.

리처드 놀과 슈퍼문

‘슈퍼문’이라는 용어는 1970년 미국의 점성술가 리처드 놀에 의해 제안되었습니다. 놀은 달이 지구에 가장 가까운 근지점에 있을 때 보름달이 되면 슈퍼문이 된다는 이론을 정립했습니다. 그의 연구 결과는 많은 사람들에게 달의 위상 변화와 궤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일조했습니다. 리처드 놀의 제안 이후 많은 천문학자들이 이 용어를 사용하여 슈퍼문 현상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나사와 슈퍼문 연구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슈퍼문 현상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며 인류의 이해를 높이고 있습니다. 나사는 슈퍼문이 발생하는 원인과 그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천문학적 현상을 설명하고 관측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나사는 일반 대중에게도 슈퍼문과 같은 천문 현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아름다운 자연 현상을 직접 느낄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슈퍼문에 대한 자주 묻는 질문들

많은 사람들이 슈퍼문에 대해 궁금해하는 내용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슈퍼문이 정확히 무엇인지, 언제 볼 수 있는지, 슈퍼문의 영향력은 무엇인지에 대해 자주 질문을 받습니다. 다음은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답변입니다: - 슈퍼문은 언제 발생하나요? 슈퍼문은 달이 근지점에 도달하고, 그 시점에 보름달이 될 때 발생합니다. 이는 한 해 동안 몇 차례 일어날 수 있습니다. - 슈퍼문을 보면 어떤 느낌이 드나요? 슈퍼문은 일반 보름달보다 14% 더 크고 30% 더 밝게 나타나며, 매우 인상적인 경험을 제공합니다. - 슈퍼문이 지구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해수면 상승과 같은 미세한 영향을 줄 수 있으나, 일상생활에 극적인 변화는 없습니다.

결론

슈퍼문은 자연이 주는 경이로움을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천문 현상입니다. 달이 지구에 근접하면서 더욱 커지고 밝아지는 이 현상은 많은 사람들에게 놀라움과 즐거움을 선사합니다. 2023년 추석에 나타나는 슈퍼문과 부분 월식을 통해 더욱 자연의 신비로움에 다가가 보는 것도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슈퍼문은 과학적 연구와 관찰을 통해 그 경이로움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주제입니다.

추석 슈퍼문 올해 기대되는 달맞이 이벤트!
기사작성 : 관리자
추석 슈퍼문 올해 기대되는 달맞이 이벤트! | 뉴스다오 : https://newsdao.kr/8631
경기도 김포시 태장로 789(장기동) 금광하이테크시티 758호(10090) 대표전화 : 031-403-3084 회사명 : (주)프로스
제호 : 뉴스다오 등록번호 : 경기,아 53209 등록일 : 2022-03-23 발행일 : 2022-03-23 발행·편집인 : 김훈철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훈철
뉴스다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뉴스다오 © newsdao.kr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