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중동 사태 긴급 모니터링 체제 가동

정부, 중동 사태 긴급 모니터링 체제 가동
최근 이스라엘과 이란 간 무력 충돌로 촉발된 중동 사태와 관련해 정부가 금융과 에너지 등 주요 부문별 동향을 24시간 집중 모니터링하며 신속 대응 체제를 구축했다.
기획재정부는 23일 이형일 기재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 주재로 관계기관 합동 비상대응반 회의를 개최해 중동 사태가 국내외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형일 직무대행은 "미국의 공습 이후 이란 의회가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의결하는 등 사태 전개의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이어 "국제유가가 2~3%대 상승으로 출발하는 등 국제 에너지 가격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관계기관이 국제 에너지 가격과 수급 상황을 밀착 점검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부는 어려운 세수 여건 속에서도 유류세 인하 조치를 2개월 연장한 상황임을 알리며, 범정부 석유시장 점검단을 중심으로 유가 상승에 편승한 불법 행위를 철저히 단속해 국내 석유류 가격이 과도하게 상승하지 않도록 노력할 것을 당부했다.
이 직무대행은 "미국의 이란 공습 이후 우리 금융시장이 주요국에 앞서 먼저 개장하는 점을 고려해 시장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과도한 변동성이 나타날 경우 관계기관이 긴밀히 협력해 즉각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현재까지 미국의 이란 공습 이후 국내 원유와 액화천연가스(LNG) 도입에는 차질이 없으며, 중동 인근 해역을 항해 중인 우리 선박 31척도 안전하게 운항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향후 상황의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정부는 관계기관 합동 비상대응반을 중심으로 중동 사태 전개 양상과 금융, 에너지, 수출입, 해운물류 등 부문별 동향을 24시간 모니터링하며, 특이 동향 발생 시 상황별 대응계획에 따라 긴밀히 협조해 신속히 대응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