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쿠폰, 음식점서 가장 많이 사용…8월 소비자심리지수 최고치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률 99% 달성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지급 신청이 9월 12일 마감된 결과, 전체 대상자의 99.0%에 해당하는 약 5008만 명이 신청을 완료했다. 지급된 금액은 총 9조 693억 원에 이르며, 14일 24시 기준 신용·체크카드로 지급된 6조 177억 원 중 88.1%인 5조 2991억 원이 실제로 사용된 것으로 집계됐다.
음식점에서 소비쿠폰 사용 가장 활발
소비쿠폰 사용처를 살펴보면 음식점이 40.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마트 및 식료품점이 15.9%, 편의점 9.5%, 병원 및 약국 9.1%, 학원 4.1%, 의류 및 잡화 3.6%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쿠폰이 지역 내 다양한 업종에서 골고루 소비를 촉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소상공인·전통시장 체감경기 및 전망 BSI 최고치 기록
소비쿠폰 지급 이후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의 매출 증대와 소비 심리 개선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소비자심리지수는 7월 110.8, 8월에는 111.4로 7년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한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표한 8월 소상공인시장 경기동향(BSI) 조사에서도 8월 체감 및 9월 전망 BSI가 올해 최고치를 경신했다.
정부 지원이 체감 BSI 호전의 주요 원인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모두 정부 지원 증대를 체감 BSI 호전의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소상공인은 77.0%, 전통시장은 89.3%가 정부 지원 확대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지역상권 활성화 및 공동체 가치 실현
행정안전부는 18일 소비쿠폰 사용 현황과 경제적 효과를 발표하며,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지급이 지역상권 활성화에 기여하고 가치 소비를 통해 지역 공동체의 가치를 실현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산업활동 전반에 걸친 긍정적 효과
통계청의 7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국내 산업 생산, 소비, 투자 부문이 모두 전월 대비 증가하는 '트리플 상승'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소매판매액 지수는 전월 대비 2.5% 증가해 29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을 기록했다.
소상공인 매출 증가 체감
소상공인연합회와 전국상인연합회가 공동 실시한 실태조사 결과, 응답자의 55.8%가 소비쿠폰 지급 이후 매출이 증가했다고 답했다. 매출이 증가한 사업장 중 51%는 매출 증가율이 10~3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상공인 사례: 베이비카페 매출 회복
부산에서 베이비카페를 운영하는 소상공인 ㄱ씨는 소비쿠폰 덕분에 희망을 되찾았다고 전했다. 출산율 저하와 경기 침체로 손님이 줄었던 가게는 소비쿠폰 지급 이후 주말 예약률이 약 40% 증가하고 한 달 평균 매출도 25% 이상 회복됐다. ㄱ씨는 "소비쿠폰을 통해 처음 방문한 부모들이 아이와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는 점에 큰 힘을 얻었다고 말할 때, 소비쿠폰의 단순한 매출 이상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소비쿠폰 통한 나눔과 상생 사례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계기로 지역사회에서 나눔과 상생, 연대의 가치가 확산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의 고등학생 ㄴ씨는 소비쿠폰으로 커피 50잔을 구입해 지역 소방서에 전달했다. ㄴ씨는 "부모님이 시장에서 장사하시는데, 소방관들의 헌신에 보답하고 싶었다"며 소비쿠폰을 뜻깊게 사용한 소감을 밝혔다.
이외에도 세종, 경기 수원, 강원, 충남 보령·홍성, 제주 등 여러 지역에서 학생과 시민들이 경찰서와 소방서에 커피와 간식을 전달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또한 소비쿠폰으로 구입한 생필품과 식료품을 보육원, 저소득층, 독거 어르신 등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취약계층에 전달하는 등 다양한 나눔 활동이 확산되고 있다.
취약계층 위한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
각 지자체는 고령자와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주민을 위해 담당 공무원이 직접 방문해 소비쿠폰을 지급하는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를 운영했다. 7월 21일부터 9월 12일까지 전국에서 40만 2614건의 찾아가는 신청이 이루어졌다.
복지서비스와 연계한 취약계층 지원
경기도 구리시에서는 홀로 거주하는 75세 ㄷ씨가 찾아가는 신청을 통해 소비쿠폰과 함께 건강 체크, 식료품 지원 등 복지서비스를 받았다. ㄷ씨는 "온라인 신청이 어려웠고, 장마와 폭염으로 외출이 힘들었는데 주민센터 공무원과 간호사가 직접 방문해 도움을 주어 큰 힘이 됐다"고 말했다.
경기도 구리시는 간호사 방문 건강지원 서비스와 연계해 홀몸 노인과 중증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식료품을 지원하고 있다. 부천시도 찾아가는 신청을 통해 취약계층 주거 실태를 파악하고 청소, 도배 등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선제적 지원에 나서고 있다.
행안부 장관, 2차 소비쿠폰 지급 의지 밝혀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골목상권을 살리는 데 그치지 않고 지역 공동체 곳곳에 따뜻한 온기를 전하며 사회적 연대감을 형성하고 있다"며 "오는 22일부터 시작되는 2차 지급을 통해 골목상권과 지역 공동체를 살리는 가치소비가 더욱 확산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