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동물 출현 감지해 로드킬 막는다
AI 기술로 동물 찻길 사고 예방 나선다
정부가 인공지능(AI)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해 동물 찻길 사고, 이른바 '로드킬'을 예방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시범 운영에 들어갔다. 환경부는 경기도 양평군과 강원도 평창군의 국도 2곳에 이 시스템을 설치해 9일부터 본격 가동한다고 밝혔다.
동물 출현 실시간 감지와 알림
이 시스템은 AI 기반 CCTV와 라이다 센서를 통해 도로 주변의 야생 동물 출현을 감지한다. 감지된 정보는 도로 150m 전방에 설치된 LED 전광판에 실시간으로 "전방 150m 이내 야생 동물 출현"이라는 경고 문구로 송출된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미리 동물 출현을 인지하고 속도를 줄이는 등 안전 운전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다.
민관 협력으로 개발된 첨단 시스템
환경부는 지난해 7월 포스코디엑스, 국립공원공단, 국립생태원과 함께 동물 찻길 사고 예방 시스템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후 양평과 평창에서 사고가 잦은 도로 구간을 선정해 지난 3월 시스템 설치를 완료했다. 환경부는 행정 지원을, 포스코디엑스는 시스템 개발과 설치를, 국립공원공단과 국립생태원은 구간 선정과 효과성 평가를 맡아 협력했다.
딥러닝으로 동물 출현 예측
이 시스템의 AI는 야생동물 종류와 출현 시간 등 축적된 데이터를 딥러닝 방식으로 학습해 동물 출현을 사전에 예측한다. 이를 통해 운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 사고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안전과 생물다양성 보전 두 마리 토끼
동물 찻길 사고 예방은 단순히 운전자 안전을 지키는 것을 넘어 차량 파손과 교통사고 위험을 줄이고, 나아가 생물다양성 보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는 2027년까지 횡성, 남원 등 사고 다발 구간 3곳에 추가 설치를 계획 중이다.
준공식과 앞으로의 계획
9일 양평군 청운면사무소 복지회관에서 열린 준공식에는 환경부와 협력 기관 관계자, 지역 주민 등 50여 명이 참석해 시스템 시연을 참관했다.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민관 협업으로 이룬 성과인 만큼 앞으로도 기업 참여를 통한 다양한 생물다양성 보전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